선시 만행 한시 화두(148)
-
역려(逆旅)/청허선사
(백련사 고목) 역려(逆旅) ~청허선사(淸虛禪師)~ 唐虞玉帛花含淚(당우옥백화함루) 湯武干戈月帶悲(당무간과월대비) 宿客不停空館在(숙백부정공관재) 東西門外水空流(동서문외수공류) 요순의 태평은 꽃에 맺힌 눈물이요 탕무의 풍운은 달에 서린 수심일세 어제 손님 떠나고 빈 객주집 문..
2014.11.14 -
녹파릉엄/청허선사
(덕유산 무주구천동 월하탄) 청허선사(淸虛禪師) 바람은 자도 꽃은 떨어지고 새가 우니 산이 더욱 고요하구나 새벽은 흰 구름과 함께 지새고 물은 밝은 달 띄워 흘러가네 讀罷楞嚴(독파릉엄) 風靜花猶落(풍정화유락) 鳥鳴山更幽(조명산갱유) 天共白雲曉(천공백운효) 水和明月流(수화명월..
2014.06.26 -
백운청풍
(소양강 일몰) 백운청풍 白雲淸風自去來 (백운청풍자거래) 日落西山月出東 (일락서산월출동) 흰 구름 맑은 바람 절로 오가고 서산에 해지니 동산에 달뜨구나. 얼마나 명쾌한 시인가. 볼 수록 경탄이 절로 나오는 시다. 달리 무슨 사족을 달겠는가. 一切不留하며 無可記憶이니 虛明自照하..
2014.06.12 -
무이구곡가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 송대 성리학을 집대성하고 1179년 백록동서원을 일으켜 서원교육의 바람을 일으켰던 주희(朱熹 1130~1200)는 1183년 53세에 무이산에 들어와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지었다. 그리고 여기에 은거하면서 무이정사 주변의 누정(樓亭)과 지형을 시로 쓴 무이정사잡영(武夷..
2014.04.30 -
지당 춘초몽
(불암산 석정봉에서) 지당 춘초몽 연못가의 봄풀은 아직 꿈에서 깨어나지 못했는데 섬돌 앞 오동잎은 이미 가을 소리를 내는구나 未覺池塘春草夢 미각지당춘초몽 階前梧葉已秋聲 계전오엽이추성 (작자미상) (소요산에서) 한가위 잘 쇠시길 합장드립니다.
2013.09.10 -
월하독작(月下獨酌)
월하독작(月下獨酌) ~이태백~ 花間一壺酒 (화간일호주) 꽃 새에 놓인 술 한 동이 獨酌無相親 (독작무상친) 따라주는 친구도 없이 홀로 마시노라 擧盃邀明月 (거배요명월) 잔 들어 밝은 달을 맞이하고 對影成三人 (대영성삼인) 그림자 대하니 세 사람 되었고녀 月旣不解飮 (월기불해음) 달..
201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