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명산과 사찰(845)
-
안동 천등산 봉정사(2/2)
안동 천등산(天燈山) 봉정사(鳳停寺)(2/2) 제1부에 이어 2부의 포스팅은 봉정사의 영산암이다. 영산암 가는 길 봉정사 고건축(古建築)의 아름다움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건물이 봉정사 대웅전 동쪽에 있는 영산암(靈山庵)이다. 조선 후기에 세워진 봉정사 영산암은 응진전, 송암당, 우화..
2018.04.22 -
안동 천등산 봉정사(1/2)
안동 천등산 봉정사(天燈山 鳳停寺)(1/2) 안동 천등산(天燈山) 봉정사(鳳停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682년(신문왕 2) 의상(義湘)이 창건한 절로 알려져 왔으나, 1971년 극락전에서 상량문이 발견됨으로써 672년(문무왕 12) 능인(能仁) 대사가 창건했음..
2018.04.22 -
안동 연미사와 보물 제115호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안동 연미사와 보물 제115호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보물 제115호 지정된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은 연미사에 있다. 거대한 자연 암석을 그대로 불신(佛身)암각하고 그 위에 두상(頭像)을 따로 조각하여 올려놓은 미륵 마애불상인데 그 형상이 여느 사찰의 마애불보다도 그 조형기법이 뛰..
2018.04.19 -
충주 탄금대와 대흥사
충주 탄금대와 대흥사 오전 내내 흐린 날씨가 오후가 되어도 개일 줄을 몰랐다. 충주3대철불을 돌아보고 귀경길에 늦은 점심 공양을 하고 나니 식당에서 탄금대공원이 그리 멀지 않아 둘러 보았다. 충주의 탄금대는 본래 대문산이라 부르던 야산인데, 신라 진흥왕 때 우리나라 3대 악성(..
2018.04.14 -
(충주3대철불 3) 충주 백운암 철재여래좌상
(충주3대철불 3) 충주 백운암(白雲菴) 철재여래좌상(鐵材如來坐像) 충주 3대 철불좌상의 마지막 투어로 빌미산 백운암을 들렸다. 앞서 포스팅 한 단호사(丹湖寺)와 대원사(大圓寺)는 충주 시내에 있지만 유독 백운암(白雲菴)은 시내와 떨어진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에 있는 빌미산 자락에 ..
2018.04.08 -
(충주 3대철불 2) 미친 부처(狂佛)라 불렀던 충주 대원사 철불좌상
(충주 3대철불 2) 미친 부처(狂佛)라 불렀던 충주 대원사 철불좌상 불교에서 삼보(三寶)란 불법승(佛法僧)을 말한다. 3보 중에서도 불(佛) 즉 부처님이 으뜸이다. 그래서 사찰이라면 당연히 부처님을 상징하는 불상(佛像)을 모시고 있다. 불자들은 불상에 대하여 신심(信心)을 다하여 경건한..
2018.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