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로자나불의 수인(手印)
2022. 12. 27. 21:49ㆍ사찰에 관한 상식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삼국시대다.
고구려, 신라, 백제가 각기 다른 경로로 불교가 전래되었는데,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년) 6월에 진나라 왕 부견(符堅)이
사신과 승려 순도(順道)로 하여금
불상과 경문(經文)을 보내왔다는 기록이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이것을 최초의 불교 전래로 본다.
(금산사 비로자나불좌상)
이후 다양한 불상이 제작되었는데, 금동불, 철불, 목조불,
소조불을 비롯하여
야산 바위에 새기는 마애불 등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 왔다.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불상은
사회 문화 변천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독특한 양식을 유지하는 것이다.
(남장사 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990호)
수인(手印)은 부처님이 내자증(內自證)의 덕을 표시하기 위하여
열 손가락으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드는 표상이다.
그 종류는 대체로 비로자나불의 지권인(智拳印)과
법계정인(法界定印), 아미타불의 미타정인(彌陀定印),
그리고 석가여래의 근본 5인, 합장인 등이 있다.
부처님의 수인 중 논란의 여지를 안고 있는 것은 항마촉지인과 지권인이다.
(당진 영탑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409호)
항마촉지인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수인으로만 알고 있지만
국보 제45호인 부석사 무량수전의 아미타불과 같이
아미타불 부처님의 수인도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대체로 통일신라 초기 불상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때는 석가모니불과 아미타불 부처를 같은 부처로 여겼기 때문인데
주로 통일신라 초기에 그 내력을 가진 사찰에서 주로 조성된 것이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의 아미타불 좌상 국보 제45호)
@비로자나불은 협시불 없이 단독으로 봉안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협시를 둘 경우 노사나불과 석가모니불을 봉안한다.
비로자나불을 법신불(法身佛)을 보고 노사나불을 보신불(報身佛),
석가모니불을 응신불(應身佛)로 여기고 있다.
비로자나불의 수인은 지권인(智拳印)이다.
대개 우권인(右拳印) 즉 오른손이
왼손의 검지를 감싸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많다. 이를 좌권인(左拳印)이라 부른다.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63호)
지권인(智拳印)이 상징하는 의미는
이(理)와 지(智), 중생과 부처, 미혹함과 깨달음이
원래는 하나라는 뜻을 의미하며 보리인(菩提印), 각승인(覺勝印)이라고도 한다.
이 수인은 금강정경(金剛頂經)에 기초를 둔 것으로
주로 밀교계의 대일여래가 취하는 것이나
우리나라에서는 화엄종의 주존인 비로자나불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산청 내원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33-1)
비로자나불의 불상 중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석불로 알려진
산청 석남암사지 (내원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33-1)에서 알 수 있듯이
비로자나불 불상의 수인을 보면 오른손으로
왼손의 둘째손가락 윗부분을 감싸는 형태를 취하는
우권인(右拳印)이 일반적인데 이와 반대의 경우로
좌권인(左拳印)을 취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화엄의 교리로만 본다면 우권인이 합당하다.
이는 오른손은 부처님의 세계를 표현하고
왼손은 중생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결인(結印)은 중생과 부처님이 하나임을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로자나불의 수인을 참고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26호)
<왼손이 위로> 좌권인
@경주 토함산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6)
@밀양 천왕사 석조비로자불좌상(보물제1213호).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좌나불좌상(보물제990호)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불좌상(보물제542호),
@당진 영탑사금동비로자불삼존좌상(보물제409호)
@대전 계족산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1829호/조선후기
@광주 무등산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131호)
@청주 용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경북유형문화재23호),
@진주 고산암 석조비로자불좌상(경남유형문화재 236호)
@진주 한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경남 유형문화재 제236)
@경북대 사암제 비로자나불좌상(비지정문화재)
@김천 직지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금동비로자불좌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958호)
<오른손이 위로>우권인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좌나불좌상(국보제63호)
@장흥 보림사 철불 비로자나불 국보 제117호
@청양 칠갑산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174호
@영주 소백산 비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996호
@산청 석남암사지 (내원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233-1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좌나불좌상(보물995호)
@창원 불곡사 석조비로좌나불좌상(보물제436호)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좌불좌상(보물제433호)
@영주 부석사 복지리석조여래좌상(비로자나불)(보물제220-1.220-2)
@영주 소백산 비로사 석조비로좌나불좌상(보물제996-1,2호)
@대구 팔공산 동화사 석조비로좌불좌상(보물제244호)
@경주 기림사 소조 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958호
@평택 심복사 석조비로난불좌상, 보물 제565호/통일신라
@예천 청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425호/통일신라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995호
'사찰에 관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가모니불의 협시불과 협시보살 (2) | 2024.02.14 |
---|---|
천왕문과 사천왕(四天王) (4) | 2024.01.21 |
기독교 십자가 스와스티카와 불교 卍자의 이해 (0) | 2021.12.26 |
불교의 卍자, 원이삼점, 일원상(一圓相)에 대한 소고(小考) (0) | 2021.04.11 |
유희좌, 윤왕좌 등 법좌(法坐)의 유형 (0) | 2021.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