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론(肇論)의 묘존(妙存)

2020. 3. 12. 22:34조론

조론(肇論)의 묘존(妙存)


유무(有無)를 벗어나지는 않았지만 거기에 있지도 않음을 묘()라 말하고

자체는 단절치 아님을 존()이라고 말한다.

이는 유* 무의 어느 쪽에도 집착하고 안주함이 없는 열반의 심오한 자취이다.

이처럼 심오한 자취는 유*무에 상즉하지도 않았고,

*무를 떠나지도 않은 사이에 오묘하게 존재한다. 그럼으로 묘존(妙存)이라고 말하였다.

여기에서 열반은 묘존이라고 말하기 했으나

 이는 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의 의미를 정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만다라/법흥사)  


조론의 <열반무멸론(涅槃無名論)>에 의하면 화신(化身)의 출현과

법신(法身)의 은둔이란 측면에서 유식의 4종 열반을 거론하고 있는 데

 자성열반(自性涅槃) 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

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 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 이다.

(반가사유상/백제최초 불교도래지 법성포)

  

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이란

 일체의 성인은 속제인 유위(有爲)에 거처하지도 않고,

진제인 무위(無爲)에도 집착하지 않는다.

 *무의 이변 어느 쪽에도 집착하지 않고,

*무가 둘이 아닌 중도에도 안주하지 않아

유의의 변화에 감응함과 무위의 고요함이 둘이 아닌 경지를 총괄해서 열반이라 부른다.

그 때문에 이를 무위에 안주함도, 유위에 처함도 없는 무주처열반이라고 말한다.라고 했다.  

*조론의 <묘존(妙存)>은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설명인 것이다.

(진공묘유에 대해서는 본방 공()의 의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