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2. 21. 15:03ㆍ국내 명산과 사찰
보물 제1340호 지리산 천은사 괘불탱(泉隱寺掛佛幀)
우리나라 사찰에는 괘불대가 조성된 곳을 많이 있다.
괘불대가 있다는 것은 그 사찰에 괘불이 있었다거나, 괘불이 현재 있다는 의미가 된다.
지금까지 조사된 우리나라의 괘불은 1600년대에서부터 1900년대에까지
약 300년에 걸쳐 제작된 70여 점이 전해지고 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이 영남지역의 사찰에 소장되어 있다.
천은사 괘불탱은 1673년(조선 현종 14년)에
경심(敬心), 지감(志鑑), 능성(能聖) 등 3인의 화승(畵僧)이 그린 영산회상도로
한 폭의 화면에 권속을 대동하지 않고 석가모니불을 단독으로 등장시킨 가장 단순한 형식이다.
보물 제134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탱화의 폭은 35㎝로 삼베 15조각을 이어 붙여서 만든 것이다.
전체 크기는 894㎝, 폭은 567㎝로
거대한 화면 정면에 석가모니를 배치했다. 괘불대는 극락보전 앞에 남아 있다.
석가불 존상은 입상이며 왼손 손바닥을 위로 하여 배 중앙에 위치시키고 오른손은 길게 내려뜨렸다.
머리는 형식화되고 간략하게 표현된 나발(螺髮)에 뾰족한 육계를 지녔으며,
큼직한 중앙계주와 정상계주가 묘사되어 있다.
다소 긴 얼굴에 갈매기형으로 굴곡이 진 눈썹과 길고 큰 눈을 지녔으며,
인중이 깊게 파였고 입술 끝이 살짝 올라가 존상에 표정을 부여하였다.
특히 귀가 크게 표현되었는데 이마 끝 선부터 시작된 귀가 턱선까지 길고 두툼하게 묘사되어 있다.
불의(佛衣)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우견편단 형식으로
청색과 홍색을 강렬하게 대비시켰으며 불의 끝단에 문양대가 있을 뿐 별다른 장식은 없다.
천은사 괘불은 석가불의 삼도(三道)가 표현된 목이
다른 불화에 표현된 존상에 비해 다소 길게 묘사된 것이 특징적이다.
이 괘불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느낌이 드는 존상의 괴체적(塊體的)인 형태와
향토색이 강한 독특한 채색과 필선 등
17세기 후반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사진 및 자료출처: 문화재청>
'국내 명산과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 천은사 제1부 (0) | 2019.12.21 |
---|---|
보물 제1888호 지리산 천은사 삼장보살도(求禮泉隱寺三藏菩薩圖) (0) | 2019.12.21 |
황금사원 청주 선두산 혜은사 (0) | 2019.12.14 |
반달곰을 사육하는 지리산 문수사 (0) | 2019.12.10 |
예천 학가산 원명사(圓明寺) (0) | 2019.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