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랑거철(螳螂拒轍)과 조온마난색기(趙溫馬亂色氣)의 유래

2018. 2. 5. 21:51해학의 경귀들


(중국 서안 진시황병마용갱에서)


당랑거철(螳螂拒轍)과 조온마난색기(趙溫馬亂色氣)의 유래

 

분수에 넘치는 행동을 하거나 경거망동을 부리는 자를 일러

당랑거철(螳螂拒轍)이란 말로 비유합니다.

 당랑(螳螂)은 흔히 사마귀나 오줌싸개로 불리는 버마재비를,

거철(拒轍)은 수레를 막는 것을 의미합니다.

작은 미물인 버마재미가 자기보다 수 천 배 큰 수레를 막겠다고 어리석게 나서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춘추전국시대 제()나라 25대 군주인 장공(莊公: ?~기원전 548)이 어느 날 큰 수레를 타고 길을 가는데 

 큰 길가에 있던 버마제비란 놈이 길을 막고 서 있었습니다.

버마제비가 가만히 보니 큰 짐승이 태산 같은 것을 타고 오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거드름을 피우고 위엄을 부리고 오는 것을 꼴을 보니 같잖은 생각에 속이 뒤 접혀

 내 저놈을 못 가게 가로막아야겠다라고 마음먹고 긴 다리를 꼿꼿이 세우고 수레를 가로막았습니다.

그러니 어떻게 되었겠습니까? 완전 피박살이 나지 않았겠습니까.

그런데 장공은 어리석지만 미물로서 용기 하나만은 가상하다고 여기고 수례를 돌려서 지나갔다고 합니다.

한 나라의 군왕 다운 면목을 보인 것이겠지요.



  

이 이야기는 後漢書를 비롯하여 장자(莊子)人間世篇에 나오는 고사인데

이렇게 아무런 힘도 없는 것이 무한한 힘이 있는 것을 막으려 해도 소용없다는 것을 일러

당랑거철(螳螂拒轍)”이라고 합니다. 3대 선시(禪詩) 중 하나인 영가스님의 증도가에서도

무상대도(無上大道) 앞에 아름알이로 우쭐대는 중생을 빗대어 인용한 말이기도 합니다.

 


또 어린아이가 철없이 까불고 대드는 것을 보고는 어른들이 “x 만한 색끼라고 육두문자를 씁니다.

어린 놈이 뭘 안다고 덩벙거리느냐 하는 의미입니다. 분수를 모르고 객기를 부르는 자,

천방지축(天方地軸) 날뛰는 자를 비아냥대며 경계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는 민담(民譚)에 나오는 趙溫馬亂色氣(조오마난색기)란 말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옛날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조() 씨 성을 가진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밤 조씨의 부인의 꿈에 건장한 말 한 마리가 품속을 뛰어드는 꿈을 꾸었습니다.

다음 날 아침 잠에서 깨어나 남편에게 어젯밤 꿈 이야기를 했더니,

남편은 이는 말과 같이 활달하고 건장한 아들을 순산할 태몽이라고 좋아했습니다.

남편의 말대로 부인은 임신이 되고, 산달이 되자 정말로 건장한 아들을 낳았습니다.

 

조 씨는 부인의 태몽이 말이었기에 아이의 이름도 "溫馬(온마)"라 지었습니다.

따듯하고 정이 넘치는 온()의 의미와 액귀와 병마를 이기는 건장한 힘을 지닌,

양성(陽性)을 상징하는 말() 같이 되어라고 온마라 한 것입니다.

온마가 장성하여 스무 살이 되었을 때 건장한 말처럼 양기도 출중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조온마는 조씨 부부의 기대와는 다르게 말처럼

왕성한 정력으로 마을의 처녀란 처녀는 죄다 욕보이는 난봉꾼이 되었습니다.

천리마처럼 온 동네 처녀를 섭렵하고 다니니 이를 보다 못한 마을 사람들이 관가에 고발하여

조온마는 판관 앞에 끌려가게 되었습니다. 전후 이야기를 들은 판관은

"조온마는 색기(色氣)로 인하여 마을의 미풍양속(美風良俗)을 어지럽혔다 (趙溫馬亂色期;조온마난색기).

따라서 차후 이런 패륜적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거세(去勢)를 한다고" 고 형벌을 내렸습니다.

결국, 조온마는 거세를 당하였고, 사람들은 이렇게 분수를 지키지 못하고

지나친 경거망동을 일삼는 자들에게

조온마의 일을 상기시키기 위하여 "조온마난색기"라는 말로 경계했다고 합니다.


'해학의 경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문(龍門)에 얽힌 잡다한 두 번째 이야기  (0) 2018.02.10
용문(龍門)에 얽힌 잡다한 이야기  (0) 2018.02.08
시발노무색기(始發奴無色旗)  (0) 2011.07.19
무제40  (0) 2008.05.13
토마토와 오이  (0) 2006.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