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4. 13. 22:38ㆍ경전과교리해설
<자목련>
법(法)도 버려야 하거늘 ...
『....너희들 비구는
나의 설법을 뗏목에 비유함과 같음을 아는 자는
법도 오히려 버려야 하는데
하물며 법 아닌 것에 있어서랴...』
<금강경 제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금불(金佛)은 화톳불을 건너지 못하고
목불(木佛)은 불을 건너지 못하며
니불(泥佛)은 물을 건너지 못한다.
삼불의 형태가 다 진실치 않으니
눈 가운데 동자(瞳子)가 면전(面前)의 사람이다.
만일 능히 가중(家中)의 보배를 믿어 얻으면
우는 새와 산의 꽃이 한 모양 봄이구나.
오이를 심으면 오이를 얻고
과일을 심으면 과일을 얻는다.
일불(一佛)이불(二佛) 천만불이 각각
눈은 횡선(橫線)이요, 코는 직선이다.
예전에 친히 선근(善根) 종자를 심어 왔으니
금일에 앞을 의지하여 그의 힘을 얻는다.
수보리여, 옷입고 밥 먹음이 심상(尋常)의 일이니
어찌 특별히 의심을 낼 것인가.
뚜렷함이 태허공(太虛空)과 같아
흠결(欠缺)도 없고 남음도 없다.
법상(法相)과 비법상(非法相)이여,
두 주먹을 펴 매 다시 손바닥이다.
뜬 구름이 푸른 허공에 흩어지니
만리(萬里)의 하늘이 한 모양이다.
금(金)으로 금을 무역하지 못하고
물로 물을 씻지 못한다.
수목(樹木)을 얻어 가지를 잡는 것이
족히 기이하지 못하다.
높은 벼랑에서 손을 펼쳐야 대장부가 된다.
물이 차고 밤이 차고 고기를 찾기 어려우니
빈 배로 머물러 달을 싣고 돌아온다.
물이 다달아 개천이 된다.
종일 바빠도 저 일과는 방해되지 않는다.
해탈도 구하지 않고 천당(天堂)도 즐겨하지 않는다.
다만 능히 한 생각 무념(無念)에 돌아가면
높이 비로자나불(佛)의 이마 위를 걸어 행할 것이다.』
<금강경 오가해/정신희유분/야보(冶父)>
'경전과교리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성(佛性) (0) | 2007.04.30 |
---|---|
무득무설(無得無說) (0) | 2007.04.18 |
무연자비(無緣慈悲) (0) | 2007.03.30 |
중도(中道)3 (0) | 2007.03.29 |
지수화풍(地水火風)과 마음의 비유 (0) | 200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