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도가(證道歌) 제31구 감로수
2024. 9. 13. 11:41ㆍ증도가
내 듣기엔 마치 감로수를 마심과 같아서
(모든 번뇌를) 녹여서 단번에 부사의해탈경에 들어가도다
<原文>
我聞恰似飮甘露(아문흡사음감로)
銷融頓入不思議(소융도입부사의)
《유마경》 제자품 중에
「음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끊어 없애지도 아니하고
그렇다고 그것들과 함께 하지도 아니하여야 하며,
이 몸을 파괴하지도 않고 그
러면서도 일상(一相)을 수순(隨順)해야 하며,
우치(愚痴)와 애욕(愛欲)을 없애지도 아니하면서
밝음과 해탈을 일으켜야 합니다.」라는 말이 있다.
이미 앞에서 비방을 긍정하고 따르라고 했으니
이는 사량(思量) 분별심(分別心)을 떠나
마음이 혼탁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망념(妄念)이 다 없어진 경계를
경(經)에서는 무생(無生)이라고 한다.
무생(無生)은 곧 성불이며 바른 생각이다.
그래서 이를 감로수로 비유한 것이다.
여기서 감로수는
부처님의 교법(敎法)을 비유하는 말로 원뜻은
「불교에서 말하는 육욕천(六慾天)의 둘째 하늘인
도리천에 있는 달콤하고
신령스러운 액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액체는 한 방울만 마셔도
온갖 괴로움이 사라지고,
살아 있는 사람은 오래 살 수 있고
죽은 이는 부활한다고 한다.
그래서 불사주(不死酒)로도 일컬어진다.
《불본행경》에서는
감로수를 8가지 탕약으로 비유한다.
「여덟 가지의 탕약은 그 화합이 매우 신기하고 좋아
감로 맛을 따라 마시는 사람은
미혹하여 취함에서 깨어나리라.」라는 말이 있다.
여기서 8가지 탕약은 팔정도를 가리키는 말이다.
@경에서는 일체 만법의 근원인 진여 자성은
원융무애 하여 유무 선악 등의 상대를 초월하였다.
이 절대적인 모든 법은 조금도 움직이지 않고
본래 공적하다. 이 법의 성품은 이름과 모양이
전혀 없어 일체가 완전히 끊어졌으니,
구경 무심의 증지(證智)로만 도달할 뿐
다른 어떤 경계로서도 헤아리지 못한다고 하였다.
부처님의 경지는
실로 부사의(不思議) 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 경지에 오른 자를 견성(見性)했다고 말하니
오직 견성한 사람만이 순경계(順境界)와
역경계(逆境界)의 말을 듣고도
마음의 자재를 얻어서
부사의해탈묘문(不思議解脫妙門)에 들어갈 수 있으므로
“모든 번뇌를 녹여서 단번에 부사의해탈에 들어간다
[銷融頓入不思議]고 한 것이다.”
'증도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도가(證道歌) 제33구 (무생자비와 인욕) (0) | 2024.09.20 |
---|---|
증도가(證道歌) 제32구 (선지식과 법주지인욕) (0) | 2024.09.19 |
증도가(證道歌) 제30구 과보(果報)의 시기 (4) | 2024.09.08 |
증도가(證道歌) 제29구 해구의 (2) | 2024.09.01 |
증도가(證道歌) 제28구 상근기와 중하근기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