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락산 학림사
2022. 3. 6. 18:21ㆍ국내 명산과 사찰
학림사(鶴林寺)는 수락산에 있는 절이다.
예전에는 학림사를 경유하여 수락산 오르는 등산로가 힘들고
또 위험하여 피하였는데 지금은 마치 둘레길처럼 잘 정비되어
용굴암 거처 수락산을 오르는 들머리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학림사는 옛적에 찾아갈 때는 마치 토담 길을 걸을 때 느끼는
영혼의 향수 같은 감흥을 주는 절이었는데
사세가 좋아져서 당우들이 늘어서서 그런지
지금은 사뭇 다른 감이 드는 것은
어언 30여 년이 흘러간 세월 탓인가...
학림사(鶴林寺)는 671년 신라 11대 왕인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는 사찰이라고 하지만
옛 흔적을 말해주는 유물은 하나도 남아 있지 않다.
학림사(鶴林寺) 사찰 안내서에서 따르면
「학림사는 鶴이 알을 품고 있는 鶴之抱卵(학지포란)의 형국이므로
鶴林寺라 명명했다.」라고 했으나
불교에서 <鶴林> 은 다른 뜻이 있다.
중인도 구시나가라 밖 니련선하가에 있던
사라쌍수의 숲을 일컫는 말로, 일명 鶴林이라고 하는데
세존께서 이 숲속에서 열반하실 때에 이 숲이 일시에 꽃이 피어
숲색이 백색으로 변하여 마치 흰 학들이 모여 있는 것으로 보였다고 하므로
후세에 이것을 학림이라고 하였으며,
또 숲이 고사(枯死)하여 부처님의 열반 뜻으로 쓰인 말이다.
『涅槃經一』에 보면 「그때 구시나서 娑羅樹林(사라수림)이
白色으로 변하여 마치 흰 鶴들이 앉아 있는 것과 같았다. 」 라고 하였고,
『止觀一上』에 「처음엔 鹿苑(녹원), 중간엔 鷲嶺(취령),
맨나중에 鶴林이다」 라고 하였으며,
同七上에 「鶴林은 부처님의 施化(시화)가 이미 具足하였고,
중간에 榮苦 하였다가 열반에 드신 곳이다.」라고 하였다.
<자료출처: 한국불교대사전/ 명문당>
수락산 학림사라는 편액이 걸린 이 건물은 수락산의 일주문 역할을 한다.
안에는 사자 등을 타고 있는 문수동자와
코끼리 등에 올라탄 보현동자상을 조성해 놓았다.
월출산 도갑사 해탈문(국보 제50호)의
해탈문을 모본으로 한 것인지는 몰라도 금강역사가 없는 것만 다르다.
보현동자
문수동자
옛적에 없는 2층 건물로 청학루가 조성되어 있다.
앞은 청학루, 뒤에는 설법전이란 편액이 걸려 있고,
일 층은 종무소를 겸하고 있다.
오백나한전
석가모니불을 주불(主佛)로 하여 좌우에 석가모니의 제자 가운데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은 성자들을 봉안하는 전각을 응진전,
나한전이라고 하는데 보통 석가모니불과 십육 나한을 모신 경우는
응진전(應眞殿)이라 하고 석가삼존을 중심으로
500인의 아라한을 모신 것을 오백나한전(五百羅漢殿) 등으로
분리하는 것이 전각의 일반 예다.
그런데 학림사의 오백나한전의 주불은 약합(藥盒)을 지닌 것으로 보아
석가모니불이 아닌 약사불로 보인다.
좌우 협시로는 대개 가섭과 아난, 또는 정광여래나
노사나불 미륵불을 모시는 예도 있는데,
보관을 쓰지 않은 것으로 보아 여래는 분명한데
두 분 협시가 정광여래인지 미륵불인지 알 수 없다.
범종각
범종각에는 다른 전각과 다르게 학을 조성해 놓은 것이 색다르다.
사명이 학림사라서 학을 조성해 놓은 모양이다.
대웅전
수미단에는 중앙에 석가모니불, 좌협시로 관음보살,
우협시로 지장보살을 모셨다.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을 본존으로 두지만,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두는 예도 있다.
대개 아미타불을 본존을 모시는 경우
우협시를 대세지보살 대신 지장보살을 두는 경우가
사찰에 따라서 종종 있는데 석가모니불의 협시로는
지장보살을 두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웅전의 경우
본존을 석가모니불이 아닌 아미타불로 보는 경우가 많다.
용문산 용문사의 대웅전을 보면 대세지보살과
관음보살을 협시로 본존으로 석가모니불을 두고 있는데
이는 용문사가 신라 때 창건된 사찰임 알리기 위함인데
통일신라 시대는 아미타불을 석가모니불의 화신
내지 같은 여래로 보았기 때문이다.
칠성탱
지장탱
신중탱
범종
삼성각
약사전
수락산 학림사의 약사전은 여느 사찰과 달리 약사전이 일주문 밖에 있다.
약사여래는 모든 중생의 재앙을 막아주고
질병을 고쳐 주는 여래로 약사유리광여래, 대의왕불(大醫王佛),
의왕선서(醫王善逝)라고도 불린다.
아미타불이 서방정토의 교주이듯이
동방정유리세계(東方淨留璃世界)의 교주가 약사여래불이다.
수락산 학림사의 석조 약사불은
조선 후기에 민간 신앙에 근거하여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숭유(崇儒) 억불(抑佛)의 조선 시대에도 사찰은 탄핵받았지만
태조 이성계와 승려로 출가한 그의 딸(경순공주)과
흥국사의 설화에서 보듯 민간에서는
질병 퇴치를 위해 이러한 약사불이 많이 조성되었던 모양이다.
서울과 경기도 일대에서 유난히
이러한 석조약사 여래상이 많이 발견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예시하면,
@수락산 흥국사 만월보전 석조약사여래좌상
정릉 봉국사 석조약사여래좌상
도봉산 망월암 석조약사여래좌상(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21호)
북한산 상운사 석조약사여래좌상
학림사 경내에 들어가지 전에 2기의 석종형 부도가 있는데
이 부도의 주인공은 알려져 있지 않다.
'국내 명산과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부) 민족의 영산 강화 마니산 참성단에서 정수사로 (0) | 2022.03.11 |
---|---|
(제1부) 민족의 영산 강화 마니산 암릉길(정수사에서 참성단으로) (0) | 2022.03.09 |
양주 불곡산의 바위들 임인년(壬寅年) 첫 산행 (0) | 2022.03.01 |
충주원평리석조여래입상 과 삼층석탑 (0) | 2022.02.22 |
양평 용문산 계곡의 겨울 풍경과 용문사 (제2부) (0) | 2022.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