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비상 6) 국보 제108호 공주박물관 계유명삼존천불비상
2021. 5. 15. 16:28ㆍ문화재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불비상(佛碑像)은
앞서 전술한 바처럼 모두 7기인데
그중 5기는 보물로, 2기는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불비상(佛碑像)이란 부처나 보살 등 불교의 여러 존상(尊像)을
비석 형태에 새긴 불교 조각을 의미하며,
조각과 관련된 글이나 제작자에 관한 명문을 새기기도 한다.
불비상은 지붕돌(옥개석)과 몸돌(비신), 받침돌(대좌)을 따로 만들거나,
하나의 돌로 만들기도 한다. 불비상의 재질은 납석으로,
납석(蠟石)은 화산암이 마그마에서 방출된 열변성 작용으로 생성된 암석이다.
우리나라 불상 재료로 많이 쓰인 화강암에 비교해 무르고, 표면에 광택이 있다.
그래서 납석재 불교 조각은 화강암에 비교해 날카롭고
섬세한 선과 회화적인 표현이 가능하여
그 시대의 불교 문화를 이해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
국보로 지정된 불비상 2기 중 하나인
국보 제106호인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은
현재 청주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국보 제108호
계유명삼존천불비상 (癸酉銘三尊千佛碑像)은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불비상명: 계유명삼존천불비상 (癸酉銘三尊千佛碑像)
시대:고대/남북국/통일신라
문화재 지정:국보 제108호
크기:높이 91㎝, 두께 14.5㎝, 너비 47.5㎝
제작 시기: 673년
소장: 국립공주박물관
국보 제108호로 지정된 이 불비상은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서광암(瑞光庵)에서 발견된 것으로,
비석 모양의 돌에 불상과 글을 새겨 놓은 것이다.
일명 서광암 삼존천불비상으로 불려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부근의 옛 절터에서
서광암으로 옮겨졌다고 전하고 있어
확실한 원위치는 알 수 없다.
이 석비상(石碑像)은 통일신라 때 연기 지방을 중심으로 조성된
이른바 ‘연기파(燕岐派)’ 불상 조각 중 가장 크다.
이 비상은 낮은 기단 위에 장방형의 비신(碑身)이 수직으로 세워진
전형적인 석비형 비상(碑像)이다.
비신부는 4면으로 이루어졌으며,
앞면의 삼존불 좌상을 중심으로 옆면,
뒷면에까지 작은 불상을 가득 배열하고, 좌우로 조상기를 적고 있다.
연화문이 새겨진 보주형 광배(寶珠形光背)를 지닌 본존은
통견(通肩)의 법의를 입고 방형 대좌에 결가부좌 하였다.
머리 부분은 파손되었고 가슴에는 ‘卍’자를 새겼다.
손 모양은 같은 해에 제작된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국보 제106호)과 같은 수인(手印)이다.
연화가 조각된 둥근 두광(頭光)을 지닌 좌우 두 협시보살은
삼국시대 보살상의 특징인 X자형으로 교차한 천의(天衣)를 입고 있다.
이들의 얼굴은 마멸되었으며 직립한 자세로 연화좌 위에 서 있다.
이 중 오른쪽 보살은 오른손에는 긴 연꽃 송이를 쥐고
왼손은 가슴 앞으로 들어 보주(寶珠)를 들고 있다.
그러나 왼쪽 보살은 마멸이 심하여 무엇을 쥐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이 비상에는 삼존상 외에 앞면·뒷면·옆면 및 옥개석(屋蓋石)까지
여러 단으로 면을 구획하여, 소형의 불상을 빽빽이 배치하고 있다.
작은 불상들은 모두 두광을 지니고
통견의 법의에 선정인(禪定印)을 한 상들이다.
그 숫자가 거의 900여 구에 가까운 것으로 보아,
천불신앙(千佛信仰)에 따른 천불상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의하면
「천불신앙은 현재천불(現在天佛)에 대한 신앙으로서,
중국의 북위(北魏) 때부터 그 신앙이 있었다.
용문석굴(龍門石窟)의 조상명(造像銘)에 그
불명(佛名)이 처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금동 연가 7년 명 여래입상(국보 제119호)과
원오리 출토 소조불(元吾里出土塑造佛)의 예로 미루어 6세기경부터
그 신앙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단독상이 아닌 천 불을 동시에 표현하는 것으로는
이 비상이 가장 오래된 예가 아닌가 한다.」라고 설하고 있다.
삼존상의 좌우에 각각 4행씩 세로로 선을 그어
해서(楷書)로 명문이 적혀 있다.
명문에 의하면 계유년에 ‘대사 진모씨(大舍眞牟氏)’ 등
250명이 국왕·대신 및 칠세부모(七世父母) 등을 위하여
아미타불과 여러 불보살상을 만든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 불상이 제작된 연기 지방이 신라통일 후 백제 부흥 운동의 중심지였다든지,
삼존상에 나타나는 삼국시대의 불상 양식,
가령 보살의 X자형의 천의라든가 삼국시대의 연꽃무늬 등이
앞 시대 양식을 따르는 점으로 보아,
여기에서 말하는 ‘계유년’은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과 마찬가지로
삼국통일 직후인 673년(문무왕 13)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이러한 점은 비상의 발원자인 ‘진모씨’ 등이
백제성을 따르고 있는 점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이 석불 비상은
백제 귀족을 중심으로 한 백제의 유민이 망국의 한과
심각한 장래를 걱정하면서, 칠세부모라는
상징적인 전체 백성들에게 호소하고, 아울러 조상들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향도(香徒: 화랑도)가 되어 조성한 불상이다.
백제의 불상 양식을 계승하려 한 백제 유민들의 의지가
충실히 반영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써 이 불비상으로 통해 조성 시기는 통일신라 시대지만
그 조성경위를 통하여 통일신라 이전에
이미 백제는 미륵신앙에서 아미타라는
정토 신앙으로 옮겨가 있음을 알 수 있어
백제 석조문화와 더불어 백제불교 역사를 조망하는 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329호 공주 충청감영측우기와 공주 감영 (0) | 2021.06.09 |
---|---|
공주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국보 제247호 (0) | 2021.05.29 |
불비상5) 보물 제650호 세종시 연화사 칠존불비상 보물 (0) | 2021.05.13 |
불비상4) 보물 제649호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0) | 2021.05.12 |
통일신라 삼대 범종의 하나인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 (0) | 2021.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