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198호 단양 신라적성비(丹陽新羅赤城碑)

2019. 2. 6. 22:16국내 명산과 사찰




단양 신라적성비(丹陽新羅赤城碑)

국보 제198호로 지정된 단양신라적성비(丹陽新羅赤城碑)

 단양 휴게소 바로 뒤에 있는 성재산에 있다.

이 비는 1978년 단성면 성재산의 적성(赤城) 내에서 단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비의 발견으로 산성의 이름이 <적성(赤城)>임이 밝혀지게 되었다.

이곳은 남쪽에서 죽령을 넘어 남한강을 건너기 직전에 있는 전략적 요충지이며,

부근에는 고구려 장군 온달의 전설이 전해오는 온달산성이 있다.

현존 높이 93cm, 위 너비 107cm, 아래 너비 53cm.

자연석 화강암의 표면을 다듬어 글자를 새겼고,

오랫동안 땅속에 묻혀 있던 관계로 마멸이 적어 자획이 또렷한 편이다.

 

윗부분이 파손되었으며, 21행에 430자 가량을 새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비석이 발견된 직후 행해진 주변 일대의 발굴조사를 통해 건물터가 밝혀졌고,

 기와·토기 편을 비롯하여 몇 개의 비편이 더 발견됨으로써

현재는 모두 305자를 읽을 수 있고,

정밀한 연구에 의하여 비편 가운데 일부는 본문에 연결시켜 읽을 수 있게 되었다.

비문의 글씨체는 예서(隸書)에서 해서(楷書)로 옮겨가는 과정에 있는 것이며,

문장은 한문투와 함께 신라 고유의 문장법이 혼용되어 해독에 어려움이 있다.



  

비문은 크게 처음의 연월일을 기록한 부분과 본문,

그리고 비를 세우는 데 관계한 사람들을 기록한 3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연월일을 기록한 부분은 파손되어 있다.


 

비가 건립된 시점은 이 지방을 중심으로 어떤 비상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었거나,

그 상황이 마무리된 직후라고 추정된다.

비문에 고두림성(高頭林城)에 와 있던 2명의 군주(軍主)를 비롯한

군사지휘관인 당주(幢主) 등이 언급되어 있기 때문이다.

 

비문의 내용은 진흥왕이 10명의 고관(高官)에게 명하여

신라의 북방 경략을 돕고 충성을 바친 현지사람인 야이차(也爾次)를 포상하고

 주민을 위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중에서 왕교(王敎)를 받은 왕경인(王京人) 10명은

 당시 신라의 북방 경략에서 중심인물이었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사부(伊史夫내례부(內禮夫비차부(比次夫무력(武力) 등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인물로서 주목된다.

 

즉 이사부는 삼국사기의 이사부(異斯夫)로서 지증왕 대에서

진흥왕대에 걸쳐 대외 경략에 활약하다가

진흥왕대 후반에 거칠부에게 그 임무를 넘겨준 최고 사령관이었다.

내례부는 삼국사기의 노리부(弩里夫)에 비정(比定)된다.

 

그리고 무력은 김유신의 조부인 김무력(金武力)으로서,

553(진흥왕 14)에 백제의 동북지역, 즉 한강 하류 유역을 탈취하여

신주(新州)를 설치했을 때 그 군주로 임명되었다.

비차부는 그대로 삼국사기의 비차부와 같다.

이렇게 보면 비문의 결락부(缺落部)4번째로 등장하는 인물은 거칠부로 비정할 수 있다.

비의 건립연대를 추측하는 데는, 비차부가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즉 비차부는 551년 거칠부와 함께 죽령 이북 고구려의 10()을 탈취하러 출정할 때

관등이 제5등 대아찬이었는데 비문에서는 제6등 아간(阿干阿飡)으로 나오므로

비의 건립연대를 550년 이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적성비에서는 '국법'(國法), '적성전사법'(赤城田舍法) 등의 용어가 나오므로

당시 신라 국가율령제의 내용과 함께

적성지방의 토지 또는 수취에 관한 법률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인물에 소녀(小女소자(小子(() 등의 구분이 나오는데,

이는 정(정녀(丁女)가 되기 이전의 연령층으로 생각되는 만큼

신라가 일정한 기준 하에 인구를 파악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