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5. 4. 00:44ㆍ국내 명산과 사찰
(금오산 정상 현월봉)
금오산기행(1/5) 망금오산유감(望金烏山有感)
금오산(金烏山)도립공원은 1970년 6월 1일에 우리나라 최초로 지정된 도립공원이다.
면적은 39.91㎢로, 금오산의 원래 이름은 대본산(大本山)이었으며
중국의 오악(五岳) 가운데 하나인 소림사가 있는 숭산에 비겨 손색이 없다 하여 남숭산(南嵩山)이라 불리기도 했다.
금오(金烏)란 이름은 아도화상이 이곳을 지나다 저녁놀 속으로
황금빛 까마귀, 곧 태양 속에 산다는 금오(金烏)가 날아가는 모습을 보고
태양의 정기를 받은 산이라 하여 그렇게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번 금오산 기행은 5부로 나누어 포스팅한다.
(채미정)
망금오산유감(望金烏山有感)
~하겸진~
金烏霽色忽當眉 (금오제색홀당미)
往事令人血淚滋 (왕사령인혈루자)
埋沒忍看培竹地 (매몰인간배죽지)
凄凉爲誦葵花詩 (처량위송규화시)
堠望臺前雲淡淡 (후망대전운담담)
藥師庵裏月依依 (약사암리월 의의)
過客不知歸事晩 (과객부지귀사만)
臨風跨馬故蹰踟(임풍과마고주지)
[한글풀이]
비 온 뒤 금오산 빛은 갑자기 눈앞에 와 닿고
지난 일 사람으로 하여금 피눈물 짓게 하네
대나무 심은 땅 매몰되는 것을 어찌 보리
처량히 규화시를 읊조리네
후망대 앞의 구름은 담담하고
약사암 안의 달은 처량하기만 하네
지나가는 나그네 해 질 무렵에도 돌아갈 줄 모르고
바람 앞에 달리는 말 주저앉았네
(약사암)
이 시는 개항기 하겸진이 구미 지역의 금오산을 바라보며 느낀 심회를 읊은 한시다.
하겸진(河謙鎭, 1870~1946)은 한국의 유학자로 자는 숙형(叔亨), 호는 회봉(晦峯)·외재(畏齋)이다.
「망금오산유감」은 하겸진이 금오산을 바라보며,
세월의 흐름에 따라 야은 길재의 자취가 사라져 가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지은 칠언 율시로 『회봉집(晦峯集)』에 수록되어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대혜폭포
도선굴
약사암
석조마애불
'국내 명산과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오산 기행(3/5) 도선굴과 대혜폭포 (0) | 2017.05.06 |
---|---|
금오산기행(2/5) 채미정과 해운사 (0) | 2017.05.05 |
수락산 영원암 (0) | 2017.04.29 |
도봉산 녹야선원(鹿野禪院) (0) | 2017.04.27 |
수락산(水落山) 염불사(念佛寺) (0) | 2017.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