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 20. 22:26ㆍ국내 명산과 사찰
태능 천보산 불암사
@천보산은 불암산의 이명이다. 상계동, 중계동, 하계동 쪽 마을에서는 불암산이라고 부르지만
양주 별내면 쪽에서는 천보산이라 일컫는다.
태능 불암산은 508m의 그리 높지 않은 산이지만 100대 명산에 속한다.
조선 시대에는 양주목에 속하였던 산으로 원래 ‘필암산(筆岩山)’이라 하여
먹골(墨洞)·벼루말(硯村)과 함께
필(筆)·묵(墨)·현(硯)으로 지기(地氣)를 꺾는다는 풍수지명(風水地名)이었다.
불암산이라는 명칭은 큰 바위로 된 봉우리가 마치 승려가
평상시에 납의(衲衣)와 함께 착용하는 송낙을 쓴 부처와 같은 형상이라 이름이 붙여졌다.
@송낙은 승려가 평상시에 납의(衲衣)와 같이 착용하는 모자를 말하며,
기본 형상은 상고 시대의 변(弁)과 비슷하다.
위는 촘촘히 엮고 아래는 15cm쯤 엮지 않아 정수리 부분이 뚫려 있다.
송라립(松蘿笠)이라고도 한다.
@천보산(天寶山) 불암사(佛岩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에 속한다.
서울근교 사대 원찰(願刹) 중의 하나로서,
조선 세조 때 한양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네 곳에 호극안민(護國安民)을 위한 기도 도량으로 삼았는데
동쪽은 불암산 불암사(佛岩寺), 서쪽은 북한산 진관사(津寬寺), 남쪽은 삼성산 삼막사(三莫寺),
북쪽은 북한산 승가사(僧伽寺)를 두었는데 불암사가 가장 으뜸이었다고 한다.
절 입구 제월루(霽月樓) 앞에 세워져 있는 천보산불암사사적비(天寶山佛巖寺事蹟碑)에 의하면,
824년(헌덕왕 16) 희양산문(曦陽山門)을 일으켰던 지증대사(智證大師)가 창건하였고,
도선(道詵)국사가 중창하였으며, 무학(無學)대사가 삼창하였다.
그 뒤 성종 때 중건하였고, 1782년(정조 6) 서악(西岳)이 보광명전과 관음전을 중수하고
제월루(霽月樓)를 다른 곳으로부터 이건 하였다.
1855년(철종 6)에 보성(寶性)·춘봉(春峯)·혜월(慧月) 등이 중수하였으며,
1910년 독성각·산신각·동축당(東竺堂)이 창건되었다.
(제월루)
1959년에는 만허(滿虛)가 칠성각을 지었고,
1989년에는 태국과 스리랑카에서 각각 3과와 4과의 진신사리를 모셔와 진신사리보탑을 세워 봉안하였다.
1991년 관음전이 소실되었으나 1992년에 중건하였고, 1994년에는 일주문을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금당(金堂)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제월루·관음전·칠성각·경판고(經板庫)·일주문·요사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591호로 지정된 석씨원류응화사적책판(釋氏源流應化事蹟冊板) 212매의 목판이 있고,
최근에 발견된 목조관음보살좌상이 보물 제2003호 지정되었다.
삭씨원류응화사적책판은 1638년(인조 16)에 왕명으로
역대 승려의 법통을 이어온 것을 판각한 것으로,
고창 선운사(禪雲寺)와 이 절에만 보존되어있는 귀중본이다.
이 밖에 경기도유형문화재 제53호로 지정된 379매의 경판 중 언해판 4종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 절 뒤 암벽에 조각한 마애삼존불이 불암사의 마스코트 역할을 하며,
부속암자로는 창건연대는 비슷한 약 150년 전에 중건된 석천암(石泉庵)이 불암사 위쪽에 있다.
제월루
지장전
지장보살의 협시불로 무독귀왕과 도명존자를 협시로 모시고 좌우에 나한을 두었다.
범종각
사리탑 왼쪽은 종무소 중앙은 제월루 오른쪽은 약사전이다.
석가모니불을 본존으로 문수와 보현보살을 협시로 모시고 좌우에 지장보살과 관세을 보살을 모셨다.
지장보살
관음보살
위태천을 중앙에 도식한 신중탱
범종
한 전각에 신통전, 칠성각, 산령각 이란 3개의 편액이 걸려 있다.
현재 이 전각은 탱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내부 보수 중인가 보다.
현판으로 보면 중앙은 (법륜을 든)치성광여래로 좌우 협시불은 일광, 월광이다.
중앙의 여래를 보합을 든 약사여래로 본다면 또한 일광, 월광보살로 추정할 수 있지만
전각이 칠성각임을 감한하면 보륜인지 약합인지 불명하나 치성광여래로 보는 것이 합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대화상의 배를 쓰다듬으면 재물이 생기고 아들을 낳는다고 하는 속설 때문에
천보사 포대화상 배도 뭇 보살들의 손을 엄청 탄 모양이다.
금년이 황금돼지 해라기에 ...
마애삼존불
약사전
제월루
'국내 명산과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금사원 은평구 수국사 (0) | 2019.01.25 |
---|---|
볼수록 경이롭고 매력적인 석탑 (0) | 2019.01.23 |
종로 숭인동 청룡사와 정업원 (0) | 2019.01.18 |
용봉산 기행(4/4) 보물제355 신경리마애여래입상과 용봉사 (0) | 2019.01.16 |
용봉산기행(1/4) 상하리미륵불과 용봉산 석불사 (0) | 2019.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