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 11. 21:43ㆍ국내 명산과 사찰
구중궁궐같은 대가람(2/2) 소백산 구인사
@구인사가 위치한 소백산(1,440m)은 충북 단양군과 경북 영풍군에 걸쳐 있는 산으로
소백산맥의 모산(母山)이자 우리나라 12대 명산 중의 하나로 꼽힌다. 주봉은 비로봉이다.
태백산맥에서 서남쪽으로 갈라진 소백산맥의 첫머리가 된다.
희방사, 비로사 등의 명찰이 있으며, 국립 천문대 소백산 천체 관측소가 세워져 있는 곳이다.
원래 소백산맥 중에는 ‘희다’·‘높다’·‘거룩하다’ 등을 뜻하는 ‘밝(ㅂ.ㄺ)’에서 유래된 백산(白山)이 여러 개 있는데,
그 중 작은 백산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 소백산이다.
대조사전 앞 마당에 조성된 상월원각 대조사 100주년 기념법등
대조사전
대조사전은 한국 천태종 중창조인 상월원각 대조사의 존상을 봉안한 곳이다.
1992년 기공하여 약 9년여의 공사를 거쳐 2000년 11월 5일 낙성되었다.
밖에서 보면 3층이지만 내부는 지붕까지 탁 트인 통층구조다.
이 같은 목조 3층 건물은 사례가 매우 드물어 국내에는 국보제 63호인 금산사 미륵전과 여기 대조사전 뿐이다.
대조사전의 총 면적은 557.7평방미터(169평)이며, 태백산 등지에서 자란 수령 300년 이상의 금강송과
황자기 기와 4만 여 장이 사용되고 12차례 옻칠을 한 뒤 금단청을 하는 등 최고의 정성과 기술이 동원된 성전이다.
대조사전 좌우에 모신 금강신장상은 5m 크기의 원주통석으로 조성했으며 불법승 삼보와 도량을 옹호하고 있다.
(이 사진은 펌한 것에 색옷을 좀 입혔음을 밝혀둔다.)
@상월원각대조사(上月圓覺大祖師) 오도송(悟道頌)
山色古今外(산색고금외)
水聲有無中(수성유무중)
一見破萬劫(일견파만겁)
性空是佛母(성공시불모)
산색은 고금을 벗어나 있고
물소리는 유무 가운데 있구나
일견하니 만겁이 무너지고
본성이 공하니 이것이 곧 불모구나
@佛母(불모)는 3가지 의미로 쓰이는 용어다. 여기서는 반야를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세가지 의미는
[1] 법의 진리에 계합하는 지혜. 곧 반야(般若), 이 최상의 지혜를 얻은 것이 불타인 즉,
반야는 부처님들의 어머니란 뜻으로 불모라 함.
[2] 석존의 어머니인 마야 부인, 혹은 부처님의 이모인 대애도(大愛道)를 일컫는 말.
[3] 모든 부처님이 기류(機類)에 응하여 여러 가지 형체를 나타내는 덕을 말함.
또 이것을 1존(尊)으로 하여 불모존(佛母尊)이라고 하니
불안불모(佛眼佛母)ㆍ준제불모(准提佛母)ㆍ공작불모(孔雀佛母) 등이 그것이다.
보통으로 불모라고 할 때는 흔히 불안불모를 일컬음.
<상월원각대조사(上月圓覺大祖師) 열반송(涅槃頌)>
諸佛不出世(제불불출세)
亦無有涅槃(역무유열반)
死生本空寂(사생본공적)
盈虛一月輪(영허일월륜)
모든 부처가 세상에 나오지 않았고
또한 열반에 들지도 않았다.
죽고 사는 것이 본래 공적한 것이니
찼다가 비는 것이 한 바퀴 달이로세
광명전
상월원각 대조사께서 설법하시던 옛광명당을 재건축한 광명전은 설법과 기도 교육
그리고 각종 의례와 의식을 봉행하는 공간이다.
지하2층, 지상 3층으로 3층법당에는 주불로 석가여래와 다보여래가 모셔져 있다.
천태종역대조사전
지상 2층으로 지어진 천태종역대조사의 1층은 스님들의 교육공간인 강원이며
2층은 중국 천태종의 조사 17분과 한국의 조사 18분의 존상이 모셔져 있다.
관음전
구인사 관음전은 옥석으로 조성된 옥관음상이 모셔져 있다.
천태종은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을 따라 관음존상을 모신다.
설법보전
천태종 중창주이며 구인사 개산조인 상월원각 대조사 1945년에
손수 초가삼간 터에 1980년에 새로 지은 구인사 중심전각이다.
1층부터 4층까지는 스님들과 신도들의 수행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5층은 석가모니불을 본존으로 삼존상과 삼세불탱이 모셔진 설법보전이다.
범종각
범종각에는 범종, 법고, 목어, 운판 등의 불전사물이 배치되어 있다.
'국내 명산과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억불정책과 전란 속에서도 꽃을 피운 문수도량 오대산 상원사 (0) | 2016.01.21 |
---|---|
해동불교 문수도량의 성지 오대산 월정사 (0) | 2016.01.16 |
구중궁궐같은 대가람(1/2) 소백산 구인사(救仁寺) (0) | 2016.01.09 |
맑고(淨) 향기로운(芳)로운 아름다운 금수산 자락의 고찰, 정방사 (0) | 2015.12.29 |
백옥관음도량 감악산 범륜사 (0) | 2015.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