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2. 25. 22:56ㆍ국내 명산과 사찰
합천 천불산 청량사
팔만대장경을 말하면 가야산 해인사가 떠오른다.
천불산 청량사는 그 가야산과 마주하는 산으로 해인사의 암자로 소속되어 있다.
@가야산(伽耶山)이란 이름은 범어gajasirsa 또는 羯闍尸利沙山(갈사시리사산),
가사산(伽闍山) 가종산(伽種山)인데 번역하여 상두산(象頭山)이 된다.
산마루가 코끼리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이같이 이름한 것이다.
천불산이란 곳의 유래를 찾아보니 천불산(千佛山)은 금강산의 봉우리 중의 하나를 일컫키도 하고
또 중국 산동성(山東省) 역성현(歷城縣)의 남쪽에 있는 산인데 산벽(山壁)을 파서 일천개의 불상이 조각되어 있다고 한다.
청량산의 본명은 문수보살의 성지로 일컫어지는 중국의 오대산을 말하는데
오대산지(五臺山志)에 따르면「당(唐)나라 대주(代州) 오대산으로 본명은 청량산(淸涼山)이다」하였고
또 화엄경소(華嚴經疎)에 따르면 「청량산은 곧 대주(代州) 안문군(雁門郡) 오대산이다.
해마다 굳은 얼음이 쌓이고 여름에도 눈이 날리며 한번도 무더위가 없어서 청량(淸涼)이라고 이름하였다.」라고 하였다.
청량사는 바로 이런 연(緣)을 따라 지어진 이름이 아닌가 사료된다.
청량사(淸涼寺)는 법보(法寶)사찰 해인산의 산내 암자로
창건은 확실치 않으나 해인사(AD802)보다 먼저 창건되었다 전해진다.
삼국사기 등에 의하면 최치원(857~?)이 즐겨 찾는 곳이라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중요문화재로는 9세기부터 이 절을 지켜온
돌부처(청량사 석조 석가여래좌상: 보물 265호), 신라 석탑의 대표적인 양식을 지닌 석탑(石塔 보물 266호),
그리고 9세기 말 치레수법이 아름다운 석등(石燈 보물 253호) 등이 있다.
청량사가 자리하고 있는 산 이름은 본래는 천불산(千佛山,1010m)이었는데
지금은 남산제일봉(南山第一峰) 매화산(梅花山 )이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천불산의 이명(異名)이다.
매화산으로불리는 이유는 연꽃은 진흙바닥에서 피어나는 꽃이라면
매화는 찬서리를 맞고 엄동설한을 이겨낸 꽃이라 할 수 있다.
지혜는 흔히 반야검이나 취모검 등으로도 비유되는데
이는 칼이 차겁고 예리함을 상징하듯 이에 연유하여 그렇게 지어진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해인사는 의상(義湘)대사의 법손인 순응과 이정대사가 신라 40대왕 애장왕3년 서기 802년에 창건되었고
신라문무와 663년 원효대사와 의상대사가 함께 창건했다고 전하는
또 다른 이름의 경북봉화군의 청량사를 미루워 유추해본다면
천불산의 청량사도 추측컨대 의상대사의 법손에 의해 창건된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청량사 석조석가 여래좌상(淸凉寺石造如來坐像)
보물 제265호 지정되어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황산리에 위치한 청량사의 이 석불은
삼단의 사각형 대좌 위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에 결가부좌 하였고 그 착의는 우견편단(右肩偏袒)이다.
나발의 머리에는 육계가 뚜렷하고 단아한 얼굴 표정, 그리고 안정되고 조용한 신체 형태는
현실적 사실주의의 양식으로 석굴암불상과 함께 불상 양식 전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불상의 높이는 2.1m, 대좌 높이는 75cm이며, 특히 불꽃모양의 광대 꼭대기에 화불이 모셔져 있으며
양쪽에 구름을 타고 나는 두쌍의 비천상이 역동적으로 묘사 되어 있다.
석불의 기단석을 보면 부처님께 차 공양을 올리는 보살상이 조각되어 있어
신라시대에도 차문화(茶文化)가 발달해 있다는 사실을 추정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남산 제일봉(매화산의 이명)은 해인사 대적광전의 정남향에 위치한 해발 1010m의 봉우리이다. 화강암으로 형성된 봉우리의 산세에서 나오는 상서로운 기운이 팔만대장경이 있는 해인사 대적광전의 기운과 맞부딪쳐 해인사에 화재가 발생한다고 하여 이 봉우리의 정상에 소금을 담은 다섯 개의 옹기단지를 다섯방향에 묻었다고 하며, 그 후로는 해인사에 큰 화재가 한 차례도 없었다고 한다. 지금도 해마다 단오가 되면 해인사에서는 남산제일봉이 품고 있는 불기운을 누르기 위해 소금을 묻는다고 한다.
'국내 명산과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남기행 달마산 도솔암 (0) | 2015.03.21 |
---|---|
설악산 화암사(禾巖寺) (0) | 2015.03.11 |
가평수목원의 야경 (0) | 2015.02.20 |
수락산(水落山) 석림사(石林寺) (0) | 2015.02.11 |
노강서원(鷺江書院) (0) | 201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