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명산과 사찰(845)
-
김제 모악산 금산사(3/3)
김제 모악산 금산사(3/3) 1635년 편찬된 『금산사사적』에 의하면 정유재란 이전 소실되기 전 금산사의 경내는 크게 대사구·봉천원구·광교원구 등 3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총 80여 채가 넘는 건물이 있었고 산내 암자만도 40여 개가 넘었다고 한다. 그러나 정유재란 후 경내의 건물 ..
2017.07.21 -
김제 모악산 금산사(2/3)
김제 모악산 금산사(2/3) 김제는 해남지역 및 전남지역으로 여행을 할 때 어련히 그쳐가야 하는 지역이었지만 여태끗 금산사를 들린 기회는 한 번도 잡지 못하다가 다행히도 이번 운주사와 쌍봉사에 이어 송광사 코스를 잡으면서 마지막으로 연이 닿았다. 그러나 2박 3일도 아닌, 그렇다고..
2017.07.18 -
한국불교건축의 백미 미륵전이 있는 김제 모악산 금산사(1/3)
한국불교건축의 백미 미륵전이 있는 김제 모악산 금산사(1/3) @금산사(金山寺)는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로 전라북도의 최대 사찰로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며 그 창건에 관해서도 많은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이번 금산사의 ..
2017.07.16 -
대한불교 조계총림 승보사찰 순천 송광사<제2부>
대한불교 조계총림 승보사찰 순천 송광사 순천 송광사는 조계종 산하 승보사찰이다. 스님(僧)들을 양성하고 교육하는 전문 수행도량처이며 불교교단이라는 의미다. 여기서 승(僧)은 비구니까지를 포함하여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비구만을 말하는 것이다. 송광사는 비구니를 양성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비구니들을 위한 전문 수행도량처로 잘 알려진 곳은 청도 운문사와 계룡산 동학사를 꼽는다. 불교 교단을 설립하고 비구를 위한 최초의 장소는 녹야원(鹿野園)이다. 초전법륜지로 알려진 녹야원은 인도지명으로는 사르나트(Sarnath, Sarnātha)로 불리며 바라나시의 북방 약 10km에 위치해 있다. 붓다가 부다가야(Buddha Gaya)의 보리수 아래에서 성도를 한 후 처음 고행에 나섰다가 돌아 선 다섯 도반들인 콘단..
2017.07.14 -
대한불교 조계총림 승보사찰 순천 송광사
대한불교 조계총림 승보사찰 순천 송광사(제1부) @대길상사(大吉祥寺)·수선사(修禪社)라고도 불리는 순천 송광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이며 합천 해인사, 양산 통도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의 하나인 승보사찰(僧寶寺刹)로서 매우 유서 깊은 절이다. 송광사..
2017.07.12 -
신라 9산 선문 사자산문파의 개조사 화순 쌍봉사
신라 9산 선문 사자산문파의 개조사 화순 쌍봉사 화순 쌍봉사(雙峰寺)는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에 있는 조계종 제21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다. 쌍봉사라는 사명(寺名)은 창건주인 철감선사의 도호(道號)가 쌍봉(雙峰)임으로 이에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철감선사(798~868)는 통일신..
2017.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