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기행(2/5) 쌍계사 진감선사대공령탑비와 사산비명(四山碑銘)

2017. 6. 8. 23:00조사어록과 잠언

하동기행(2/5) 쌍계사 진감선사대공령탑비와 사산비명(四山碑銘)


쌍계사 진감선사대공령탑비는 최치원의 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다.

 @사산비명(四山碑銘)은 신라 말기의 학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비문(碑文) 가운데

신라의 불교사를 비롯하여 한문학사·사상사 등 여러 면으로 자료적 가치가 높은 네 편을 뽑아 엮은 책으로 

네 편의 비문은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성주사 터에 있는

숭엄산성주사대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명(崇嚴山聖住寺大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銘: 국보 제8),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경내에 있는

지리산쌍계사진감선사대공령탑비명(智異山雙溪寺眞鑑禪師大空靈碑銘: 국보 제47),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면 말방리 대숭복사에 있었던

초월산대숭복사비명(初月山大崇福寺碑銘),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면 원북리 봉암사 경내에 있는

희양산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명(曦陽山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銘: 보물 제138)을 가리키며,

위의 네 군데 산 이름을 취하여 일반적으로 사산비명이라 일컫는다.

 

신라 불교사에서 우뚝한 위치를 차지하는 세 선사(禪師)의 일생 행적과

 화엄종 계열의 왕실 원찰(願刹)인 대숭복사의 창건 내력을 적은 비문으로서,

사비명(寺碑銘)의 찬술은 문선(文選)에 보이는 왕건(王巾)두타사비명(頭陀寺碑銘)’에서

그 선례를 찾을 수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이전에 유례가 없었던 일이다.

 

네 비 모두 왕명에 의해 찬술되었으며,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귀국한 뒤로부터 은거하기 이전에 걸쳐 찬술되었다.

 현재 대숭복사비를 제외한 세 비가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보전되어 있으며,

임진왜란 때 절과 함께 파괴된 것으로 알려진 대숭복사비는

1931년 이후 그 잔편(殘片)이 몇 차례 발굴되었다.

 

진감선사비와 대숭복사비는 최치원이 직접 글씨까지 썼으며,

 대낭혜화상비는 화상의 종제(從弟)인 최인연(崔仁渷, 뒤에 崔彦撝로 개명),

지증대사비는 분황사(芬皇寺) 승려 혜강(慧江)이 썼다.

사산비명은 우리나라 금석문의 신기원을 여는 웅문거편(雄文巨篇)으로서,

화려한 수사(修辭)에다 함축미와 전아(典雅)함을 잘 갖추고 있다.

 

계원필경집이 재당시(在唐時)에 이룩한 대표적 저술이라면

사산비명은 귀국한 이후에 남긴 저술 가운데 백미(白眉)라 할 수 있다.

사산비명의 자료적 가치와 중요성은 종래 불교학인들 사이에서

과외독본(課外讀本)으로 널리 읽혀져 왔다는 점과 함께 다수의 주해본이 계속해서 나올 만큼

식자층의 관심이 높았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사산비명은 조선 선조·광해군 때 명승(名僧) 해안(海眼: 鐵面老人·中觀)이 처음으로

고운집(孤雲集)에서 네 비문을 뽑아 책으로 엮고 주석을 붙인 이래,

연담 유일(蓮潭有一몽암(蒙庵홍경모(洪景謨) 등의 주해가 이어졌으며,

근세까지 십 수종의 주해본이 나왔다.

 

이 가운데 정주(精註정교본(精校本)으로는 문창집(文昌集)(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계원유향(桂苑遺香)(崔完秀 소장), 사산비명주(梵海 覺岸註),

정주사산비명(精註四山碑銘)(石顚 朴漢永註) 등이 꼽힌다.

사산비명삼국사기삼국유사보다 연대상으로 훨씬 앞설 뿐만 아니라,

당시의 생생한 사실(史實)을 담은 제1차 자료라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우리의 고대사 연구, 특히 신라의 선종사를 비롯한 불교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는데,

이덕무(李德懋정약용(丁若鏞성해응(成海應)과 같은 저명한 실학자들이

사산비명을 신라시대의 귀중한 사료로 여겨 중시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사산비명의 문체는 만당(晩唐) 시기에 크게 유행했던 변려문체(騈儷文體)로서,

육조풍(六朝風)의 기어(綺語)와 묘구(妙句)가 많고, 변려문에서 구사(驅使)되는 각종 수사기법과 기교,

그리고 중국 역대 금석문의 법식(法式)이 풍부하게 활용되었다.

 

그러나 지나치게 기교에 흐르거나 나열식의 기술로 꾸며진 것이 아니고,

매우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서술되었다.

또한 문의(文意)가 창달, 원만하고 음조(音調)가 잘 맞으며,

전고(典故)의 사용이 적절할 뿐 아니라, ‘화려함이 많지만 부박(浮薄)하지 않다는 평을 받고 있다.

 

비문이라는 제약된 형식 때문에 문학적 가치를 충분히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을 비롯하여 문학으로 접근할 수 있는 단서가 적지 않다.

문체적 특성 역시 당시의 문풍(文風)과 문장 스타일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된다.

 

사산비명은 글의 성격이나 형식상 최치원의 사상과 철학을 체계적으로 서술한 것은 아니지만,

여느 비문과는 달리 찬자(撰者)의 사상적·철학적 편린들을 많이 담고 있으므로,

그것을 통해 최치원의 철학사상까지도 추론(推論)할 수 있다.

 

특히 당시 학인(學人)들의 삼교관(三敎觀)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함께

최치원 철학사상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동인의식(東人意識)

동방사상(東方思想)을 고찰함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자료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높다.



@쌍계사 진감선사대공령탑비명(雙磎寺眞鑑禪師大空靈碑銘: 국보 제47),

진감선사 비명

신라국 고 지리산 쌍계사 교시 진감선사 비명과 서

() 중국 도통순관 승무랑 시어사 내공봉이며 자금어대를 하사받은 신 최치원

왕명을 받들어 글을 짓고 아울러 전자(篆字)의 제액을 씀.

 

무릇 도()란 사람에게서 멀리 있지 않으며 사람에게는 나라의 다름이 없다.

이런 까닭에 우리 동방인들이 불교를 배우고 유교를 배우는 것은 필연이다.

서쪽으로 대양을 건너 통역을 거듭하여 학문을 좇아 목숨은 통나무 배에 의지하고 마음은 보배의 고장으로 향하였다.

비어서 갔다가 올차서 돌아오며 어려운 일을 먼저하고 얻는 것을 뒤로 하였으니,

또한 옥을 캐는 자가 곤륜산의 험준함을 꺼리지 않고

진주를 찾는 자가 검은 용이 사는 못의 깊음을 피하지 않는 것과 같았다.

드디어 지혜의 횃불을 얻으니 빛이 오승(五乘)을 두루 비추었고 유익한 말[가효]을 얻으니

미각은 육경(六經)에서 배불렀으며, 다투어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선()에 들게 하고

능히 한 나라로 하여금 인()을 일으키게 하였다.

그러나 학자들이 간혹 이르기를 인도의 석가와 궐리의 공자가 교를 설함에 있어 흐름을 나누고

체제를 달리하여 둥근 구멍에 모난 자루를 박는 것과 같아서 서로 모순되어 한 귀퉁이에만 집착한다하였다.

시험삼아 논하건대 시()를 해설하는 사람은 글자로써 말을 해쳐서는 안되고 말로써 뜻을 해쳐서도 안된다.

예기에 이른바 말이 어찌 한 갈래뿐이겠는가. 무릇 제각기 타당한 바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여산(廬山)의 혜원(慧遠)이 논()을 지어 이르기를

여래가 주공, 공자와 드러낸 이치는 비록 다르지만 돌아가는 바는 한 길이다.

극치를 체득함에 있어 아울러 응하지 못하는 것은 만물을 능히 함께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심약(沈約)은 말하기를 공자는 그 실마리를 일으켰고 석가는 그 이치를 밝혔다고 하였으니,

참으로 그 대요를 안다고 이를 만한 사람이라야 비로소 더불어 지선(至善)의 도()를 말할 수 있다.


 

부처님께서 심법(心法)을 말씀하신 데 이르면 현묘하고 또 현묘하여 이름하려 해도 이름할 수 없고

설명하려 해도 설명할 수 없다.

비록 달을 얻었다고 하더라도 그 달을 가리킨 손가락을 잊기란 끝내 바람을 잡아매는 것 같고

그림자처럼 가서 붙잡기 어렵다. 그러나 먼 데 이르는 것도 가까운 데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니

비유를 취한들 무엇이 해로우랴. 공자가 문하 제자에게 일러 말하기를

내 말하지 않으련다. 하늘이 무슨 말을 하더냐고 하였으니

저 유마거사가 침묵으로 문수보살을 대한 것이나

부처님이 가섭존자에게 은밀히 전한 것은 혀를 움직이지도 않고 능히 마음을 전하는 데 들어맞은 것이다.

 ‘하늘이 말하지 않음을 말하였으니 이를 버리고 어디 가서 얻을 것인가.

멀리서 현묘한 도를 전해와서 우리 나라에 널리 빛내었으니

어찌 다른 사람이랴. 선사(禪師)가 바로 그 사람이다.

 

선사의 법휘는 혜소(慧昭)이며 속성은 최씨(崔氏)이다. 그 선조는 한족(漢族)으로 산동(山東)의 고관이었다.

수나라가 군사를 일으켜 요동을 정벌하다가 고구려에서 많이 죽자 항복하여

변방(우리나라)의 백성이 되려는 자가 있었는데

성스러운 당나라가 4군을 차지함에 이르러 지금 전주의 금마사람이 되었다.

그 아버지는 창원(昌原)인데 재가자임에도 출가승의 수행이 있었다.

어머니 고씨(顧氏)가 일찍이 낮에 잠깐 잠이 들었는데 꿈에 한 서역 승려가 나타나 말하기를

 나는 아미((방언으로 어머니를 이른다)의 아들이 되기를 원합니다하고

유리 항아리를 주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선사를 임신하였다.

 

태어나면서도 울지 아니하여 곧 일찍부터 소리가 작고 말이 없어 빼어난 인물이 될 싹을 보였다.

이를 갈 나이에 아이들과 놀 때는 반드시 나뭇잎을 사르어 향이라 하고 꽃을 따서 공양으로 하였으며

때로는 서쪽을 향하여 무릎 꿇고 앉아 해가 기울도록 움직이지 않았다.

이렇듯 착한 근본이 진실로 백 천겁 전에 심어진 것임을 알지니 발돋움하여도 따라갈 일이 아니었다.

어려서부터 성인이 되기까지 부모의 은혜를 갚는데 뜻이 간절하여 잠시도 잊지 않았다.

그러나 집에 한 말의 여유 곡식도 없고 또 한 자의 땅도 없었으니

천시(天時)를 이용하는 것으로 음식을 봉양함에 있어 오직 힘 닿는 대로 노력하였다.

이에 소규모의 생선 장사를 벌여 봉양하는 좋은 음식을 넉넉하게 하는 업으로 삼았다.

손으로 그물을 맺는데 힘쓰지 않았으나 마음은 이미 통발을 잊은 데 부합하였다.

능히 부모에게 콩죽을 드려도 그 마음을 기쁘게 하기에 넉넉하였고

진실로 양친(養親)의 노래[采蘭之詠]에 들어 맞았다.

부모의 상을 당하자 흙을 져다 무덤을 만들고는

이내 길러주신 은혜는 애오라지 힘으로써 보답하였으나 심오한 에 둔 뜻은 어찌 마음으로써 구하지 않으랴.

내 어찌 덩굴에 매달린 조롱박처럼 한창 나이에 지나온 자취에만 머무를 것인가라고 말하였다.

 

드디어 정원 20(804), 세공사(歲貢使)에게 나아가 뱃사공이 되기를 청하여

배를 얻어 타고 서쪽으로 건너가게 되었는데 속된 일에도 재능이 많아 험한 풍파를 평지와 같이 여기고는

자비의 배를 노저어 고난의 바다를 건넜다. 중국에 도달하자 나라의 사신에게 고하기를

 사람마다 각기 뜻이 있으니 여기서 작별을 고할까 합니다하였다.

드디어 길을 떠나 창주(滄州)에 이르러 신감대사(神鑑大師)를 뵈었다.

오체투지하여 바야흐로 절을 마치기도 전에 대사가 기꺼워하면서

슬프게 이별한 지가 오래지 않은데 기쁘게 서로 다시 만나는구나!” 하였다.

급히 머리를 깎고 잿빛 옷을 입도록 하여 갑자기 인계(印契)를 받게 하니

마치 마른 쑥에 불을 대는 듯 물이 낮은 들판으로 흐르는 듯 하였다.

문도들이 서로 이르기를 동방의 성인을 여기서 다시 뵙는구나!”라고 하였다.

선사는 얼굴 빛이 검어서 모두들 이름을 부르지 않고 지목하여 흑두타(黑頭陀)라고 했다.

이는 곧 현묘함을 탐구하고 말 없는데 처함이 참으로 칠도인(漆道人)의 후신이었으니

어찌 저 읍중의 얼굴 검은 자한(子罕)이 백성의 마음을 위로해 준 것에 비할 뿐이랴.

길이 붉은 수염의 불타야사(佛陀耶舍)

푸른 눈의 달마(達磨)와 함께 색상(色相)으로써 나타내 보인 것이다.


 

원화 5(810) 숭산 소림사의 유리단에서 구족계를 받았으니 어머니의 옛 꿈과 완연히 부합하였다.

이미 계율에 밝았으매 다시 학림(學林)으로 돌아왔는데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아니

홍색이 꼭두서니보다 더 붉고 청색이 남초보다 더 푸른 것과 같았다.

비록 마음은 고요한 물처럼 맑았지만 자취는 조각 구름같이 떠돌아 다녔다.

그 때 마침 우리나라 스님 도의(道義)가 먼저 중국에 와서 도를 구하였는데

우연히 서로 만나 바라는 바가 일치하였으니 서남쪽에서 벗을 얻은 것이다.

사방으로 멀리 찾아다니며 부처님의 지견(知見)을 증득하였다.

도의가 먼저 고국으로 돌아가자 선사는 곧바로 종남산(終南山)에 들어갔는데

높은 봉우리에 올라 소나무 열매를 따먹고 지관(止觀)하며 적적하게 지낸 것이 삼년이요,

뒤에 자각(紫閣)으로 나와 사방으로 통하는 큰 길에서 짚신을 삼아가며

널리 보시하며 바쁘게 다닌 것이 또 삼년이었다.

이에 고행도 이미 닦았고 타국도 다 유람하였으나 비록 공()을 관()하였다 하더라도

어찌 근본을 잊을 수 있겠는가.

 

이에 태화 4(830) 귀국하여 대각(大覺)의 상승(上乘) 도리로 우리 나라 어진 강토를 비추었다.

흥덕대왕이 칙서를 급히 보내고 맞아 위로하기를 도의(道義) 선사가 지난 번에 돌아오더니

상인(上人)이 잇달아 이르러 두 보살이 되었도다. 옛날에 흑의를 입은 호걸이 있었다고 들었는데

지금은 누더기를 걸친 영웅을 보겠도다. 하늘까지 가득한 자비의 위력에 온 나라가 기쁘게 의지하리니

과인은 장차 동방 계림의 땅을 길상(吉祥)의 집으로 만들리라하였다.

 

처음에 상주(尙州) 노악산(露岳山) 장백사(長栢寺)에 석장을 멈추었다.

의원의 문전에 병자가 많듯이 찾아오는 이가 구름같아 방장(方丈)은 비록 넓으나

물정이 자연 군색하였다.

드디어 걸어서 강주의 지리산에 이르니 몇 마리의 호랑이가 포효하며 앞에서 인도하여

위험한 곳을 피해 평탄한 길로 가게 하니 산을 오르는 신과 다르지 않았고

따라가는 사람도 두려워하는 바가 없이 마치 집에서 기르는 개처럼 여겼다.

곧 선무외(善無畏) 삼장이 영산에서 여름 결제를 할 때

 맹수가 길을 인도하여 깊은 산속의 굴에 들어가

모니(牟尼)의 입상을 본 것과 완연히 같은 사적이며,

저 축담유(竺曇猷)가 조는 범의 머리를 두드려 경()을 듣게 한 것

 또한 그것 만이 승사(僧史)에 미담이 될 수 없다.

이리하여 화개곡의 고() 삼법화상(三法和尙)이 세운

절의 남은 터에 당우(堂宇)를 꾸려내니 엄연히 절의 모습을 갖추었다.

 

개성 3(838)에 이르러 민애대왕이 갑자기 보위에 올라

불교에 깊이 의탁하고자 국서를 내리고 재비(齋費)를 보내 특별히 친견하기를 청하였는데,

선사가 말하기를 부지런히 선정(善政)을 닦는 데 있을 뿐, 어찌 만나려 하십니까?”라고 하였다.

사자(使者)가 왕에게 복명하니 그 말을 듣고 부끄러워 하면서도 깨달은 바가 있었다.

선사가 색과 공을 다 초월하고 선정과 지혜를 함께 원만히 갖추었다 하여

사자를 보내 호를 내려 혜소(慧昭)라 하였는데 소()자는 성조(聖祖)의 묘휘(廟諱)를 피하여 바꾼 것이다.

그리고 대황룡사에 적을 올리고 서울로 나오도록 부르시어

사자가 왕래하는 것이 말고삐가 길에서 엉길 정도였으나 큰 산처럼 꿋꿋하게 그 뜻을 바꾸지 않았다.

옛날 승조(僧稠)가 후위(後魏)의 세 번 부름을 거절하면서 말하기를

 산에 있으면서 도를 행하여 크게 통하는데 어긋나지 않으려 합니다라고 하였으니

깊은 곳에 살면서 고매함을 기르는 것이 시대는 다르나 뜻은 같다고 하겠다.

 

몇 해를 머물자 법익(法益)을 청하는 사람이 벼와 삼대처럼 줄지어 송곳을 꽂을 데도 없었다.

드디어 빼어난 경계를 두루 가리어 남령의 기슭을 얻으니 앞이 탁 트여 시원하고 거처하기에 으뜸이었다.

이에 선려(禪廬)를 지으니 뒤로는 안개 낀 봉우리에 의지하고 앞으로는 구름이 비치는 골짜기 물을 내려다 보았다.

시야를 맑게 하는 것은 강 건너 먼 산이요,

귓부리를 시원하게 하는 것은 돌에서 솟구쳐 흐르는 여울물 소리였다.

더욱이 봄 시냇가의 꽃, 여름 길가의 소나무, 가을 골짜기의 달, 겨울 산마루의 흰 눈처럼

 철마다 모습을 달리하고 만상이 빛을 바꾸니 온갖 소리가 어울려 울리고

수많은 바위들이 다투어 빼어났다. 일찍이 중국에 다녀온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머물게 되면

모두 깜짝 놀라 살펴보며 이르기를, “혜원공(慧遠公)의 동림사(東林寺)가 바다 건너로 옮겨 왔도다.

연화장 세계는 범부의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지만 항아리 속에 별천지가 있다 한 것은 정말이구나하였다.

대나무통을 가로질러 시냇물을 끌어다가 축대를 돌아가며 사방으로 물을 대고는

비로소 옥천(玉泉)이라는 이름으로 현판을 하였다.

손꼽아 법통을 헤아려 보니 선사는 곧 조계의 현손이었다.

이에 육조영당(六祖靈堂)을 세우고 채색 단청하여 널리 중생을 이끌고 가르치는데 이바지하였으니

 경()에 이른바 중생을 기쁘게 하기 위하여 화려하게 빛깔을 섞어 여러 상()을 그린 것이었다.


 

대중 4(850) 정월 9일 새벽 문인에게 고하기를 만법이 다 공()이니 나도 장차 갈 것이다.

일심(一心)을 근본으로 삼아 너희들은 힘써 노력하라.

탑을 세워 형해를 갈무리하지 말고 명()으로 자취를 기록하지도 말라하였다.

말을 마치고는 앉아서 입적하니 금생의 나이 77세요, 법랍이 41년이었다.

이 때 하늘에는 실구름도 없더니 바람과 우뢰가 홀연히 일어나고 호랑이와 이리가 울부짖으며

삼나무 향나무가 시들어졌다. 얼마 뒤 자주색 구름이 하늘을 가리우더니

공중에서 손가락 퉁기는 소리가 나서 장례에 모인 사람이 듣지 못한 이가 없었다.

양사(梁史)시중 저상(褚翔)이 일찌기 사문을 청하여 앓고 계신 어머니를 위해 기도하다가

공중에서 손가락 퉁기는 소리를 들었다고 실려 있으니

성스러운 감응이 보이지 않게 나타난 것이 어찌 꾸밈이겠는가.

무릇 도에 뜻을 둔 사람은 기별을 듣고 서로 조상하고 정을 잊지 못한 이들은 슬픔을 머금고 우니

하늘과 사람이 비통하게 애도함을 단연코 알 수 있었다.

널과 무덤길을 미리 갖추어 준비하게 하였으니 제자 법량(法諒) 등이 울부짖으며

시신을 모시고는 날을 넘기지 않고 동쪽 봉우리의 언덕에 장사지내어 유명을 따랐다.

 

선사의 성품은 질박함을 흐트리지 않았고 말에 꾸밈이 없었으며,

입는 것은 헌 솜이나 삼베도 따뜻하게 여겼고 먹는 것은 겨나 싸라기도 달게 여겼다.

도토리와 콩을 섞은 범벅에 나물 반찬도 두 가지가 아니었는데 귀인들이 가끔 찾아와도 일찍이 다른 반찬이 없었다.

 문인들이 거친 음식이라 하여 올리기를 어려워하며 말하기를

마음이 있어 여기에 왔을 것이니 비록 거친 밥인들 무엇이 해로우랴하였으며,

지위가 높은 이나 낮은 이, 그리고 늙은이와 젊은이를 대접함이 한결같았다.

매양 왕의 사자가 역마를 타고 와서 명을 전하여 멀리서 법력(法力)을 구하면 이르기를,

 “무릇 왕토(王土)에 살면서 불일(佛日)을 머리에 인 사람으로서 누구인들 마음을 기울이고

생각을 다하여 임금을 위하여 복을 빌지 않겠습니까?

또한 하필 멀리 마른 나무 썩은 등걸같은 저에게 윤언(綸言)을 더럽히려 하십니까?

왕명을 전하러 온 사람과 말이 허기져도 먹지 못하고 목이 말라도 마시지 못하는 것이 마음에 걸립니다하였다.

어쩌다 호향(胡香)을 선물하는 이가 있으면 질그릇에 잿불을 담아 환을 짓지 않고 사르면서 말하기를,

 “나는 냄새가 어떠한지 알지 못한다. 마음만 경건히 할 뿐이다가고 하였고,

또 한다(漢茶)를 공양하는 사람이 있으면 돌솥에 섶으로 불을 지피고

가루로 만들지 않고 끓이면서 말하기를 나는 맛이 어떤지 알지 못하겠다. 뱃속을 적실 따름이다라고 하였다.

참된 것을 지키고 속된 것을 꺼림이 모두 이러한 것들이었다.

 

평소 범패(梵唄)를 잘하여 그 목소리가 금옥같았다.

구슬픈 곡조에 날리는 소리는 상쾌하면서도 슬프고 우아하여 능히 천상계의 신불(神佛)을 환희하게 하였다.

길이 먼 데까지 흘러 전해지니 배우려는 사람이 당()에 가득찼는데 가르치기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어산(魚山)의 묘음을 익히려는 사람들이 다투어 콧소리를 내었던 일처럼

지금 우리나라에서 옥천(玉泉)의 여향(餘響)을 본뜨려 하니

어찌 소리로써 제도하는 교화가 아니겠는가.


 

선사가 열반에 든 것은 문성대왕 때였는데 임금이 마음으로 슬퍼하여 청정한 시호를 내리려다

선사가 남긴 훈계를 듣고서는 부끄러워하여 그만두었다.

3()를 지난 뒤 문인들이 세상 일의 변천이 심한 것을 염려하여 법을 사모하는 제자에게

영원토록 썪지 않고 전할 방법을 구하였더니 내공봉 일길간인 양진방(楊晉方)

숭문대의 정순일(鄭詢一)이 굳게 마음을 합쳐 돌에 새길 것을 청하였다.

헌강대왕께서 지극한 덕화를 넓히고 불교를 흠앙하시어 시호를 진감선사(眞鑑禪師),

탑명을 대공영탑(大空靈塔)이라 추증하고 이에 전각(篆刻)을 허락하여 길이 영예를 다하도록 하였다.

 

거룩하도다! 해가 양곡(暘谷)에서 솟아 어두운 데까지 비추지 않음이 없고,

바닷가에 향나무를 심어 오래될수록 향기가 가득하다.

어떤 사람은 선사께서 명()도 짓지 말고 탑도 세우지 말라는 훈계를 내리셨거늘

후대로 내려와 문도들에 이르러 확고하게 스승의 뜻을 받들지 못했으니 그대들이 스스로 구했던가,

아니면 임금께서 주셨던가바로 흰 구슬의 티라고 할 만하다고 하였다.

! 그르다고 하는 사람 또한 그르다. 명예를 가까이 하지 않아도 이름이 드러난 것은

선정을 닦은 법력의 나머지 보응이니 저 재처럼 사라지고 번개같이 끊어지기 보다는

할만한 일을 할 수 있을 때 해서 명성이 대천세계(大千世界)에 떨치도록 하는 것이 낫지 않겠는가?

그러나 귀부가 비석을 이기도 전에 임금이 갑자기 승하하고 금상이 이어 즉위하시니

질나발과 저가 서로 화답하듯 뜻이 부촉에 잘 맞아 좋은 것은 그대로 따르시었다.

이웃 산의 절도 옥천이라고 불렀는데 이름이 서로 같아 여러 사람의 혼동을 일으켰다.

장차 같은 이름을 버리고 다르게 하려면 마땅히 옛 이름을 버리고 새 이름을 지어야 했는데

절이 자리잡은 곳을 살펴보게 하니 절 문이 두 줄기 시냇물이 마주하는데 있었으므로

이에 제호를 하사하여 쌍계(雙溪)라고 하였다.

 

신에게 명을 내려 말씀하시기를 선사는 수행으로 이름이 드러났고 그대는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으니

마땅히 명()을 짓도록 하라고 하시어 치원(致遠)이 두 손을 마주대고 절하면서 ! !”하고 대답하였다.

물러나와 생각하니 지난번 중국에서 이름을 얻었고 장구(章句) 속에서 살지고 기름진 것을 맛보았으나

아직 성인의 도에 흠뻑 취하지 못하여 번드르르하게 꾸민 것에 깊이 감복했던 것이 오직 부끄러울 뿐이다.

하물며 법()은 문자(文字)를 떠난지라 말을 붙일 데가 없으니

혹 굳이 그를 말한다면 수레를 북쪽으로 향하면서 남쪽의 영()땅에 가려는 것이 되리라.

다만 임금의 보살핌과 문인(門人)들의 큰 바램으로 문자(文字)가 아니면

많은 사람의 눈에 밝게 보여줄 수 없기에 드디어 감히 몸은 한꺼번에 두 가지 일을 맡고

 힘은 오능(五能)을 본받으려 하니 비록 돌에 의탁한다 해도 부끄럽고 두렵다.

그러나 ()란 억지로 이름붙인 것이니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가.

재주가 없다 하여 필봉을 드러내지 않는 것을 신이 어찌 감히 할 것인가.

거듭 앞의 뜻을 말하고 삼가 명()을 지어 이른다.


 

입을 다물고 선정(禪定)을 닦아 마음으로 부처에 귀의했네.

근기가 익은 보살이라 그것을 넓힘이 다른 것이 아니었네.

용감하게 범의 굴을 찾고 멀리 험한 파도를 넘어,

가서는 비인(秘印)을 전해받고 돌아와 신라를 교화했네.

 

그윽한 곳을 찾고 좋은 데를 가려 바위 비탈에 절을 지었네.

물에 비친 달이 심회를 맑게 하고 구름과 시냇물에 흥을 기울였네.

산은 성()과 더불어 고요하고 골짜기는 범패와 더불어 응하였네.

닿는 대상마다 걸림이 없으니 간교한 마음을 끊음이 이것으로 증명되도다.

 

도는 다섯 임금의 찬양을 받았고 위엄은 뭇 요사함을 꺾었도다.

말없이 자비의 그늘을 드리우고 분명히 아름다운 부름을 거절했네.

바닷물이야 저대로 떠돌더라도 산이야 어찌 흔들리랴.

생각도 없고 걱정도 없으며 깎음도 없고 새김도 없었네.

 

음식은 맛을 겸하지 아니하였고 옷은 갖추어 입지 않으셨네.

바람과 비가 그믐밤 같아도 처음과 끝이 한결같았네.

지혜의 가지가 바야흐로 뻗어나는데 법의 기둥이 갑자기 무너지니,

깊은 골짜기가 처량하고 뻗어나는 등라가 초췌하구나!

 

사람은 갔어도 도()는 남았으니 끝내 잊지 못하리라.

상사(上士)가 소원을 말하니 임금이 은혜를 베푸셨네.

법등이 바다 건너로 전하여 탑이 산 속에 우뚝하도다.

천의(天衣)가 스쳐 반석이 다 닳도록 길이 송문(松門)에 빛나리라.

 

광계(光啓) 37월 어느 날 세우고 중 환영(奐榮)이 글자를 새김.





'조사어록과 잠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거사들의 불교이야기(2)- 배휴거사  (0) 2017.08.09
중국 거사들의 불교이야기(1) 배휴거사  (0) 2017.08.09
천망(天網)   (0) 2014.06.01
무념화상 임종게  (0) 2014.05.30
고향에 돌아가면  (0) 2014.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