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명산과 사찰
파주 고령산 보광사 도솔암
나그네 현림
2021. 5. 23. 07:49
고령산 도솔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인 보광사(普光寺)의 산내 암자이다.
보광사는 894년(진성여왕 8) 도선(道詵)이 창건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전소된 것을 1622년(광해군 14) 설미(雪眉)와
덕인(德仁)이 중건한 가람이다.
고령산은 해발 622m로 도솔암은 고령산의 7부 능선쯤에 자리하고 있다.
보광사 석불전 뒤의 길을 따라 오르면 되는데
안내판에서는 보광사 경내에서 800m로 나와 있지만
오르는 고갯길은 상당히 가파르다.
암자의 안내서에 의하면 보광사 도솔암은
3·1운동 때 33인의 한 사람인 백용성(白龍城)이
1915년부터 이 절에서 3년 동안
천수관음기도(千手觀音祈禱)를 하여 힘을 얻고 3·1운동에 참여하였으며,
1950년 6·25로 절 일부가 파손된 채 빈 절로 남아 있다가
무너졌던 것을 1956년 혜봉(慧峰)이 승당(僧堂)을 중건하였다.
그후 1963년 도향(道馨)이 삼성각(三聖閣)을 세웠으며,
1968년 극락전을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전을 비롯하여 삼성각·승당·요사채 등이 있다.
@삼성각
정면 3칸 측면 2칸 다포식 팔작지붕으로 조성되었다.
법당 안에는 여산신상만 모시고 칠성과 독성은 탱화로 대치하고 있다.
@극락전
삼성각과 같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지붕은 보수하는 중인지
천막을 덮어놓아 알 수 없지만, 다포식 팔작지붕으로 사료된다.
법당 안에는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을 협시로 모셨다.
지장보살이 든 보주를 약함으로 보고 약사여래로 오인할 수도 있겠지만,
지장보살상의 뒤편 탱화를 보면 지장보살임을 알 수 있다.
아미타불의 협시로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을 모신 전각은
거의 같은 시기에 조성된 서울 종로구 창신동 안양암에서도 볼 수 있다.
극락전 안에는 아미타 좌상과 관세음보살 좌상을 중심으로
후불탱화로 신중탱화, 미륵불 탱화, 지장 탱화,
감로탱화(甘露幀畫) 등이 봉안되어 있다.
닫집의 내린 뜨린 기둥에 거북이 상을 조성해 놓았다.
보관을 쓴 미륵보살 옆에 두분의 보살을 두었다.
미륵보살의 협시로는 법화림보살, 대묘상보살을 모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