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에 관한 상식
유희좌, 윤왕좌 등 법좌(法坐)의 유형
나그네 현림
2021. 2. 20. 15:13
부처님이 내자증(內自證)의 덕을 표시하기 위하여
열 손가락으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드는 표상을 일러 수인(手印)이라고 한다.
그 종류는 대체로 비로자나불의 지권인(智拳印)과 법계정인(法界定印),
아미타불의 미타정인(彌陀定印), 그리고 석가여래의 근본 5인(印), 합장인 등이 있다.
석가여래의 근본 5인(印)은 선정인(禪定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전법륜인(轉法輪印), 시무외인(施無畏印), 여원인(與願印)을 말하며
미타정인은 미타9인(印) 등으로 불린다.
이와는 반대로 두 발로 앉은 법식 좌세는 좌법(坐法)이라고 하며
범어로는 āSana라고 한다.
수인의 형태가 다양하듯 좌법 역시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분리되어 있다.
좌법의 분류는 크게 결가부좌(結跏趺坐), 반가부좌(半跏趺坐),
유희좌(遊戲坐), 윤왕좌(輪王坐). 수족좌(垂足坐),
교각좌(交脚坐: 교각상) 등이 있다.
① 결가부좌(結跏趺坐):
결과부좌는 일반적으로 가부좌라고도 하며
가부좌는 오른발을 왼쪽 허벅지 위에 얹은
다음 왼발을 오른 허벅지 위에 얹어 앉는 자세이다.
불교에서는 붓다가 앉는 자세로 불좌(佛座), 여래좌(如來座)라고 부르고,
다른 말로 길상좌(吉祥坐), 항마좌(降魔坐)라고도 한다.
밀교에서 금강살타(金剛薩埵)는 왼발과 오른발을 바꾸어 앉는데
이 경우 금강좌(金剛座)라고 부른다.
석굴암 국보 제24호 통일신라 751년 경덕왕십년. 결가부좌/길상좌
가부좌는 발 안쪽을 뜻하는 가(跏)와 발등을 뜻하는 부(趺)가 결합한 말이다.
가부좌는 인도의 요가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 몸을 안정시키고,
호흡과 명상을 용이하게 하므로 인도의 종교나 수행은
가부좌를 연화좌(蓮華坐)라고 하여 신성시한다.
가부좌는 인더스문명의 인장(印章)유물에서 보이기 때문에
기원전 3,500년까지 그 기원이 거슬러 올라간다.
두 발을 끼고 앉는 선정좌(禪定坐)는 여래상에 많이 볼 수 있다.
밀교(密敎)에서는 금강좌(金剛坐)라고 한다.
결가부좌 중에서 오늘 쪽 발이 왼쪽 발 위로 올라간 형태는
길상좌(吉祥坐)라 하며 대개 불상은 이런 형태를 취한다.
반대로 왼발이 오른쪽 발 위로 올라간 형태는 항마좌(降魔座)라고 한다.
2)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 보물 제121호 동면 약사여래좌상
3)의성 고운사 석조석가여래좌상 보물 제246호/길상좌
4) 홍천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541호 통일신라 이후/ 결가부좌/항마좌
5) 밀양 천황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1213호 통일신라 8세기 작 /항마좌
6) 광주 무등산 증심사 철조여래좌상
보물 제131호 통일신라 하대 크기 90cm/항마좌
7)칠곡 송림사 대웅전 목조 석가여래 삼존불
보물 제1605호 석가모니불 /길상좌
② 반가부좌(半跏趺坐)
결가부좌한 한쪽 다리를 풀어 내린 좌법으로 미륵 보살상에서 흔히 보인다.
1)금동미륵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78호
통일신라 7세기 전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북면; 반가사유상) 중 우측 보살
국보 제199호 신라 시대 7세기
3)서산 운산면 용현리 마애삼존불 좌협시불 국보 제84호
③ 수족좌(垂足坐)
의자나 대좌(臺座)에 걸터앉아 두 발을 내려뜨리는 좌법이다.
명부전의 시왕 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상이다.
1)법주사 마애여래상 보물 제216
2)남양주 봉영사 명부전
④ 유희좌(遊戱坐)
발을 굽히고 앉아서 다른 발을 내려뜨리는 좌법으로,
아래로 내려뜨린 발이 달라짐에 따라 우서상(右舒相)·좌서상으로 나뉜다.
한국·중국·일본에서 유행한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 좌법은
유희좌의 변형으로 보기도 한다.
1)경주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보물 제415호 유희좌/우서상 조성 1501년
3)서울 보타사 금동보살 좌상 보물 제1818호 조선시대/ 좌서상
4)용인 법륜사 관음/좌서상 대세지/우서상
5)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보물 제199호 통일신라 8세기 후반/ 우서상
6)강진 무위사극락보전(삼존불 보물 제1312) 지장보살/우서상, 관음보살/좌서상.
아미타/길상좌
7)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벽화 보물 1816호